인간에게서 버려져 살아남기 위해 환경에 적응해온 길냥이( 배회고양이와 야생고양이의 편의상 총칭)는 우리 사회 어디서나 볼 수 있다. 그들의 빠른 번식력과 적응력은 수적으로 과포화 상태에 이르러 그들 자신 뿐 아니라 인간에게도 삶의 질 측면에서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스프레잉(고양이가 자기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오줌으로 마킹하는 것), 차 위의 고양이 발자국, 뜯긴 쓰레기 봉지, 짝짓기의 소음인 울음소리와 싸움 소리로 인해 밤잠을 깨우는 등의 이유로 길냥이는 셀 수 없이 많은 비난을 받고 있다.
길냥이의 수적 증가의 문제는 삶의 질의 문제를 넘어 동물 관리 면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 중성화되지 않은 길냥이의 계속 되는 번식으로 인해 유기동물보호소는 수용 시설을 초과하고 있으며, 보호소 관리와 안락사로 재정 부담을 주고 있다.
길냥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현 시책은 안락사(길냥이는 길들여지지 않으므로 잡혔을 때 안락사 된다) 와 방치이다. 현재 전국 21개 자치구중 부분적으로 TNR을 시행하고 있지만 주민 민원이 들어오는 한에서 부분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안락사는 잡혀간 길냥이들의 빈 공간을 다른 길냥이가 유입되어 번식하여(진공효과) 다시 개체수 증가가 발생하고, 방치는 길냥이를 포화 상태에 이르게 하여 굶주림과 병의 형태로 사태를 더욱 악화시킨다.
생활상의 불편의 이유로 한 해 수십만 마리의 길냥이들이 안락사 된다는 점 역시 문제가 된다. 버리고 방치한 인간의 책임은 차치하고, 길냥이의 생명 또한 존중되어야 한다는 점은 분명한 사실이다.
길냥이의 수적 증가로 인한 수많은 민원과 유기동물 보호소의 재정적인 부담, 그리고 유럽과 미국에서 실패로 판명된 안락사가 해결방법으로 채택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보다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대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서구 많은 지역에서 효과적이며 성공적으로 길냥이를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 대안이 바로 TNR이다. TNR은 Trap-Neuter-Return(포획-중성화-방사) 의 방법을 사용해 우리 사회에 심각한 길냥이의 과도한 수적 증가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이다. TNR은 세가지 단계가 있다. (1) 길냥이의 포획 (2) 중성화, 귀표식, 광견병 백신 (3) 그들의 영역으로 방사 (돌봐주는 사람이 먹여주고, 모니터 되는 곳) 이며 새끼 길냥이와 우호적인 길냥이는 입양된다.
이 방법은 여러 지자체에서 점차 시도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길냥이의 수적 관리, 비용절감, 민원의 극적인 감소, 광견병 백신을 맞은 길냥이가 재 방사됨으로써 야생 동물에 의해 전해지는 광견병을 예방, 보호막을 하는 이점을 갖는다.
무엇보다 인간에게 버려진 동물들에게 해를 주지 않고 그들의 수를 관리한다는 측면에서 윤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합리적인 해결책임에 틀림이 없다.
TNR 이란 무엇인가?
가. TNR의 이점
1. 길냥이의 수 감소
6년간의 연구에 따르면 암길냥이는 4~6.9달에 생리를 시작하며, 1,2 월에 임신하여 3,4월에 새끼를 낳는다. 1년에 평균 2.1회의 임신을 하며 한 번에 4.25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의 42%는 자연적인 이유와 병에 감염으로 2달안에 죽으며 살아남은 나머지 새끼들은 평균 3년의 수명을 산다. 성묘인 암길냥이는 평균 5.25회의 임신을 하여 22.3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그중 12.9마리(6마리의 암컷과 7마리의 수컷)가 생존하고 이 6마리의 고양이가 다시 22마리의 새끼를 낳아 12년동안 한 마리의 중성화되지 않은 고양이는 인간의 간섭이 없다면 3200마리가 될 것이다(a report on TNR program /1995Karen Johnson).
TNR은 길냥이의 수를 두 가지 수단에 의해 감소시킨다. 하나는 입양할 수 있는 고양이를 그들의 무리에서 이주시키고, 다른 하나는 시간이 가면서 점차 새끼의 출산을 줄이는 것이다. 현재 우리니라에선 TNR을 도입하고 있는 지자체는 21곳으로 시행기간이 2~3년이고 민원이 들어온 건만 부분적으로TNR을 실시하기에 구체적인 수 감소의 성과를 알 수 없어 오랫동안 실시해 온 미국의 예에서 길냥이 수 감소의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Newburyport의 시의회의의 승인과 협조로 1992년과 1993년 사이에 Marrimack River 길냥이 구조협회는 길냥이들을 덫으로 잡았다. 200여마리가 입양을 위해 이주되었고 그것은 66퍼센트의 수적 감소를 이루었다. 다른 100마리는 방사되었고 몇 년동안 모니터되었다. 몇몇이 입양되거나 이주되는 동안 몇 몇은 죽거나 사라졌다. 2004년에 원래 방사된 수의 83퍼센트의 감소를 나타내며 17마리만이 남았다. 이는 TNR이 시행되기 전의 300마리에서 94퍼센트의 감소를 나타낸다.
TNR은 안락사의 대안으로 취해졌지만 그 지역에서 길냥이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였으며 보호소로 들어오는 수와 안락사의 수를 줄였다. 1988년과 1991년 사이 San Diego County에서 시의 보호소로 들어오는 길냥이의 수는 1991~1992년을 정점으로 전체 19,077마리(그중 15, 525는 안락사당함)로 매년 10% 증가했다. 1992년에 샌디에고의 Feral Cat Coalitiondms 시 전역에 TNR을 실시했다. 2년동안 3100 여마리가 중성화된 후에 보호소로 들어오는 수는 35%, 안락사는 40%감소했다.
San Francisco에서, 1993년 초에 San Francisco SPCA와 San Francisco Animal Control은 시 전역에 무료 중성화로 TNR을 도입했다. 1993년에서 1999년 사이 보호소의 길양이의 수는 28%, 길양이 안락사는 73%로 떨어졌고, 모든 고양이에 대한 안락사는 71%로 떨어졌다.
Arizona체 있는 Maricopa County는 길냥이가 가징 많이 빠르게 확장되는 지역중에 하나였다. Maricota County 동물관리국은 광범위한 중성화와 입양 프로그램의 부분으로서 TNR을 도입했다. 그 프로그램의 결과로 고양이 안락사가 1000명의 거주민당 25마리에서 1000명당 9마리로 떨어졌다. 이 프로그램은 너무나도 성공적이어서 TNR을 Maricopa County의 길냥이관리방책으로 선언했다.
남 Florida에서, 1990년대 초에 TNR 프로그램이 도입된 곳에 죽임을 당하는 고양이가 줄어든 탓에 안락사율이 반으로 줄었다. 예를 들면 Fort Lauderdale/Miami 에 모든 보호소는 1997년에 1000명의 거주민 당 33.0의 개와 고양이를 안락 시킨데 비해 2001년에 14.1를 안락사 했다. TNR이 시행되지 않는 Tampa에서 2001년에 개, 고양이 안락사율이 1000명의 거주민 당 32.4인 반면에 TNR이 널리 시행되고 있는 St. Petersburg 에 있는 만(bay) 전역엔 오직 13.7이었다.
TNR이 장기간 효과적인 수적 감소를 이룬다는 증거는 학계에서도 나왔다. Levy 박사는 플로리다 대학에서 TNR 프로젝트를 11년 실행했는데 66% 수적 감소 결과가 나왔다. 박사는 입양과 재 방사에 의한 장기간의 이 프로그램이 도시 지역의 배회하는 고양이의 수를 줄이는 결과를 낳는다고 결론지었다.
2. 비용 절감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TNR비용은 안락사 비용과 비슷하거나 적다. 그러나 장기적인 측면에서 TNR은 수적 감소로 인해 TNR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반면 안락사점점 더 증가시킨다. 이는 포획되고 안락사 된 길냥이의 영역을 다른 길냥이가 들어와 번식 함으로써 보호소로 들어오는 길냥이와 그들의 자손은 점차 늘며(미국 샌디에고의 동물관리국의 연구에 따르면 대략 10%) 그에 따른 안락사 비율도 점차 증가한다. TNR은 장기적으로 큰 비용 절감에 기여할 것이다.
3. 불쾌한 행동이 줄고 불평(민원) 감소
발정난 암길냥이의 울음소리, 숫길냥이들의 싸우는 소리, 스프레잉(숫 길냥이가 오줌으로 영역표시 하는 것)등은 길냥이들이 짝짓기 할 때 일어나는 행동이다. 이런 행동들은 중성화가 되자마자 극적으로 없어진다. 또한 중성화 된 길냥이의 무리들은 덜 배회해서 눈에 덜 띈다. 경기 의정부시를 예로 들면 지난 2년동안의 TNR의 실시로 민원이 감소하여 현재 TNR을 실시하지 않고 있다 한다(민원이 들어 와야 길냥이를 포획 중성화 하기 때문)
4. 쥐의 감소
TNR은 고양이들이 그 환경 내에 남아 있게 하여 비용이 들지 않는 쥐 구제 역할을 하게 하며 동시에 소음이나 냄새와 같은 불쾌한 행동들을 막아준다.
쥐의 수를 제어하기 위해서 길냥이를 유용하게 이용하는 것이 문서로 증명되었다. London 거리 고양이의 연구에서 Roger Tabor는 한 마리의 숙련된 암길양이가 6년동안 12,480마리(하루에 평균 5~6마리)의 쥐를 잡았다고 기록했다. 농부들과 마굿간 주인들은 쥐들을 없애는데 오래 전부터 길냥이를 이용했다. Thomas Gecewicz는 Massachusetts Fall River 시의 건강부 국장으로 근무하는 동안 TNR된 길냥이 무리가 지역 매립지에서 쥐의 수를 관리하는데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발견했다. Pennsylvania의 Longwood Garden에서 작은 설치류에 의해서 손상을 받는 식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통합해충관리 프로그램의 일부로 길냥이들이 역할을 하고 있다. 연구자 Paul Leyhausen는 길냥이의 먹이인 쓰레기나 쥐들이 영구적으로 제거되는 않는 도시지역에서 길냥이는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며 오히려 길냥이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중세 유럽의 페스트의 원인이 마녀와 마녀의 고양이들이라 믿은 사람들이 비난받은 고양이들을 몰살시킴으로써 쥐벼룩으로 부터 병이 전념되는 것을 막지 못해 더 커졌다라고 믿는 연구자들도 있다.
나. 효과 없는 기존의 방법들
1. 안락사 (Trap and Kill)
안락사는 수 십년 동안 서구에서 시행해 왔고 현재 우리나라도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채택하고 있는 동물관리 방법이다. 그러나 매년 안락사의 수가 점차 늘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수 감소에 효과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에는 몇가지 이유들이 있다. 진공효과, 잡히지 않은 길냥이의 급속한 번식, 계속 버림받는 집고양이들, 동물의 관리하는 자원의 부족 등이 그 이유다.
① 진공효과
진공효과는 야생동물 생물학자 Roger Tabor 에 의해 런던 길냥이의 연구에 처음 씌여졌다. 그는 길냥이의 무리가 갑자기 제거되었을 때, 이웃의 길냥이 무리가 이동해 와서 처음과 같은 상태가 될 때까지 번식을 한다는 것을 관찰했다. 빈 지역으로 새로운 길냥이의 이동은 두 요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첫째, 적절한 음식과 보금자리이고, 둘째 한 지역의 길냥이 무리는 외부와 단절되지 않은 거대한 무리 중의 하나라는 것이다. 한 지역의 무리가 없어진다 해도 다른 지역에서 이동해 와서 번식하여 서식지가 허락하는 하는 만큼 수 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②과도 번식
한지역의 길냥이를 전부 포획해서 제거하는 것은 어렵고 시간을 소비하는 일이다. 전부 포획하려한다 하더라도 도망친 몇 마리는 남는다. 남은 먹이와 보금자리에 대해 경쟁이 적기 때문에 이 고양이들은 서식지의 용량이 허용할 때까지 더 빨리 더 많이 번식하며 생존한다.
③계속 버려지는 집고양이
반려동물에 대한 책임감 없이 즉흥적으로 무분별하게 키워지고, 중성화하지 않은 발정난 고양이의 행동 때문에 집에서 키워지는 많은 고양이들이 버려지고 있다. 중성화로 해결될 문제들이 무지로 인해 버려지고 있는 것이다. 아무리 많은 수의 길냥이를 안락사 시킨다 해도 계속 해서 버려지는 고양이들이 그 자리를 메꾸어 또 번식하기 때문에 수는 줄지 않고 는다.
④ 동물 관리 자원의 부족
안락사로는 계속 증가하는 길냥이의 수를 통제 할 수 없다. 그러기에 해마다 수 많은 비용이 동물보호소에서 안락사 비용과 동물관리비용으로 소비되고 있다. 서울시의 유기동물을 관리하고 안락사 하는 동물구조협회는 매년 30%이상으로 증가하는 길냥이를 관리하고 있다. 시설확충 등의 관리비용은 해마다 50% 이상이 늘고 있으며 이 같은 비용과 노력을 지속적으로 행할 보호소나 지자체는 거의 없다.
2.완전박멸
길냥이의 완전박멸은 길냥이를 100% 제거하는 것을 의미하고 1916년 이래로 주장되어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사람이 살지 않는 작은 섬에서 수 십 년 간의 독살, 사냥, 덫, 길냥이에게 병을 감염시키는 것과 같은 강한 구제 방법으로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완전박멸의 어려움을 가장 잘 보여준 예는 아프리카와 남극 사이의 남아프리카 남동에 위치한 Marion 섬이다.
1949년에 한 그룹의 과학자들이 중성화되지 않은 5마리의 고양이를 남기고 떠났다. 1977년까지 3,400여 마리로 추산되는 고양이들이 땅에 둥지를 트는 바닷새를 먹이로 삼고 있었다.
FPvirus를 고의적으로 감염시킴으로써 1980년대 초까지 65%의 고양이가 죽었다. 남은 35%의 고양이는 그 병에 면역이 생겨서 번식을 계속 했다. 1986과 1989년 사이 897마리의 고양이가 사냥으로 죽임을 당했다. 독이 든 미끼가 넣어진 덫이 놓여서 총을 피한 고양이를 잡았다. 1991년 이래로 고양이들은 보이지 않게 되었다. 1993년, 시작 후 16년에 이르러 완전박멸은 성공했다.
Marion 섬에서 사용된 방법-전염병의 도입, 사냥 그리고 독살-들은 사람이 사는 곳에는 안전, 비용 그리고 미적인 이유로 부적절하다. 그런 방법이 시행된다 하더라도 앞에서 언급한 진공효과가 완전박멸의 노력을 무산시킬 것이다.
3. 다른 장소에 옮기기
다른 장소로 옮기는 과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입양이고, 다른 하나는 포획하여 다른 장소에 방사하는 것이다. 입양은 버려진 집고양이나 6주된 새끼고양이에 한해 가능하다(야생화한 길냥이는 길들여지지 않기 때문). 그러나 입양될 집은 한정되어 있어 대부분의 입양 가능한 고양이들도 보호소에서 안락사 된다. 포획하여 다른 장소에 방사하는 방법도 효과가 없다. 새로운 장소에 옮기는 것은 길냥이에게 스트레스를 주어 새로운 지역에서 생존할 가능성이 낮고, 잡혀간 빈자리에 진공효과를 만들기 때문이다.
4. 방치( Do Nothing)
방치된 길냥이의 무리는 어느 야생의 종과 마찬가지로 서식지의 수용능력이 초과되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수용력이 넘어서면 굶주림과 병의 형태로 개체수가 자연적으로 관리되나 중성화되지 않은 길냥이의 문제는 계속 남아 있게 된다. 계속되는 번식에 인한 불평과 민원, 굶주림과 병으로 죽어가는 길냥이 때문에 공중보건에 대한 걱정, 새끼 고양이의 높은 치사율로 인한 동물복지의 문제들이 그것이다.
다. TNR의 잘못된 이해
1. 야생동물과 새 포식
TNR이 길냥이의 수를 줄이는 유일한 방법임이 입증되었을 지라도 TNR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있다. 그것은 그들이 야생동물들과 조류를 포식하고 있다 라는 염려 때문이다. 그러나 길냥이가 야생동물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영향을 준다 라고 밝힌 연구는 없다. 오히려 여러 연구에 의하면, 야생동물을 위험에 처하게 하는 것은 서식지 파괴, 공해, 기후의 변화 등을 일으킨 인간들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개발은 세계 어디에나 가속화되고 있으며 야생동물이 이용할 수 있는 서식지는 점점 더 적어지고 있다. 서식지의 분열은 야생동물을 유전적으로 분리시키며, 그 무리가 충분히 크지 않다면 유전적으로 동종번식이 잦아진다. 그 결과 다양성과 이질성이 결여되여 멸종될 비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오랫동안의 가뭄이나 혹독한 추위 등 기후의 변화가 야생동물의 수를 더욱 감소시킨다. 온실효과에 의한 기후의 급격한 변화는 야생동물 생존과 번식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도시 공원에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독성의 살충제가 중요한 역할 을 하며 그 밖에 빌딩, 제초제등과 빌딩이나 탑 풍력기, 창문등에 의해 새들이 죽고 있다.
1994년 세계 감시 기구의 연구는 세계의 9000종의 새 중에서 5000종이 감소하고 있고, 1600종이 멸종 위기에 있는 것을 보여줬다. 몇 무리들은 서식지 파괴, 지나친 포획, 가뭄, 살충제등의 4가지 요인에 의해 그 수가 75%나 감소했다. 고양이는 그 원인에 들지 않았다.
고양이는 새를 잘 못잡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물학자 Robert Berg가 Golden Gate Park에서 행한 연구에 따르면 길냥이가 쥐를 포식함으로써 쥐가 새의 둥지를 공격하는 것을 막아줘 오히려 새의 무리를 강하게 해준다는 것을 발견했다. 미Roger Tabor의 길냥이 포식에 관한 유명한 연구는 미국과 영국에 있는 먹이를 제공받지 않은 길냥이가 먹는 먹이 대부분이 음식 찌꺼기와 곤충, 식물들, 쥐들이었고 새나 야생동물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4개의 대륙(유럽, 북아메리카, 호주, 아프리카)에서 연구는 길냥이가 새를 포식한다는 믿음은 근거가 없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길냥이가 새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라는 입장에 대한 지지는 국립 Audubon 조류협회(Audubon:미국조류학자이며 화가, 북미 조류도감 저술)에 의해 출간된 잡지 Audubon의 최근 발행 본에서 나왔다. 9,10월 발행 본엔 2004년 “새들의 상태“를 제목으로 보고서가 있다. 그 잡지에 따르면 Audubon의 과학 팀들은 전국의 새들의 건강을 보도하기 위해 가장 좋은 자료들을 다 모았다.
이 보고서는 Audubon 조류 보호협회의 이사 Greg Butcher 에 의해 쓰여진 기사로 시작한다. 그는 “미국에 있는 조류에 대한 위협은 많은 것이 있다. 그러나 가장 심각한 것은 농업확장과, 벌목으로 인해 숲이 사라지고 습지가 말라버리는 것과 도시의 확장들 때문이다. 새들은 또한 다른 위협을 직면하고 있다. 기후 변화, 수질오염, 살충제, 그리고 빌딩이나 탑, 풍력기 등이 새들을 희생하게 한다” 고 말하고 있다.
효과적으로 고양이를 면제한 것은 USDA Forest Service Northeastern Research Station의David I. King과 Smithsonian Conservation and Research Center 의 연구원 John H. Rappol에 의해 2003년 봄에 출간된 미국에서 철새 감소 원인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자연환경에서 야생동물과 식물을 보호하는 Defenders of Wildlife 에 의해 위임받아 행해졌다.
년 중 새의 개체 수 데이터와 36개의 이전의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연구자들은 세 가지 중요한 결론을 냈다. (1) 많은 종의 철새의 수는 감소했다. (2) 가장 위협받은 종들은 장거리 철새이다. (3) 이동하는데 가장 큰 위협은 번식, 단기 체재지, 그리고 특히 겨울의 열대 서식지의 파괴이다. 그들은 특히 106가지 다른 타입의 철새를 구분해서 제안되거나 보고되는 감소 원인을 목록화 했다. 다른 원인들은 인간의 서식지 교란, 살충제, 독극물, 사냥들이 있다. 길냥이는 한 번도 언급되지 않았다.
2. 광견병
광견병(rabies)이란 온혈동물에서 흥분과 마비의 신경 증상을 나타내는 치명적인 질병으로서 우리나라 가축전염병예방법(법률 제 4885호: 1995년 1월 5일)에 제 1종 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국제수역사무국( World Organization for Animal Health:OIE), 국제식량농업기구(Food and Argriculture Organization),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공동으로 가축 B급 전염병으로 지정해 놓고 있다. 인체에도 감염되는 인수공통전염병의 일종이며 일단 발병하면 100% 사망하므로 예방이 매우 중요한 병이다.
국내에서 발생 현황을 보면 1976년 이래 급속히 감소하여 한해 1977년 0건, 1978년 9건, 1979년 2건, 1980년 5건, 1981년 15건, 1982년 1건, 1983년 0건, 1984년 1건등으로 감소하는 경황을 나타내고 1985년부터 1992년까지는 발생이 없었다. 최근 발생동향을 보면, 1993년에 1건(개) , 1994년 27건 (개 9, 소16, 너구리 2), 1995년 7건(소6, 너구리 1), 1996년 5건(개2, 소3), 1997년 19건( 개 10, 소 8, 너구리 .), 1998년 58건(개 26, 소 32), 1999년 34건, 2002년과 2004년에 한건씩의 발생이 있었으며 개, 고양이에게 예방 접종을 실시한 이래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농림부 국림수의과학검역원)
반려동물에게는 예방접종을 하지만 야생동물은 예방접종을 할 수 없어 주로 경기 북부(비무장지역의 야생동물이 많은 지역)의 야생동물에게서 발병하며 이 야생동물이 농가 근처로 내려와 먹이를 찾다가 소나 개를 할퀴거나 물어 전염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의 발생경로에서 보이듯이 길냥이에 의해 전염된 예는 우리나라에서 한건도 없었으며, 2001년 미국의 질병관리예방센타(CDC)에 따르면 1975년 이래로 길냥이가 인간에게 광견병을 전염시킨 기록은 없다. 비록 길냥이가 야생동물에 의해 광견병에 감염되었다 하더라도 인간을 두려워하며, 가까이 오지 않는 특성 때문에 인간에게 전염시킬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길냥이는 인간과 야생동물의 사이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위치의 길냥이에게 TNR을 통해 광견병 백신을 놓음으로써 야생동물에게서 발생하는 광견병을 인간에게 전염되는 것을 막는 장벽 역할을 할 수 있다.
Tips
1. 길냥이에 대한 사실들과 TNR의 이점
▪ 길냥이는 오랫동안 그 지역에서 살아왔고, 그들의 영역에 강한 유대감을 가지고 있다.
▪ 길냥이는 서로와 그들을 돌보는 사람과 강한 유대감을 갖고 있지만 길들여 지지 않고, 입양될 수 없다.
▪ 길냥이는 사람들과 다른 동물에게 건강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
▪ 길냥이가 중성화되고 백신 되면 불쾌한 행동들(울음소리, 싸우는 소리, 스프레잉-오줌으로 구역 표시하는 것)이 없어지고, 길냥이들이 안정적이고 건강해지면서 수적 감소를 이룬다.
▪ 현재의 길냥이 무리가 제거되면 새로운 중성화되지 않은 길냥이가 이주해와 다시 그 자리를 차지하고 번식하여 문제들이 계속 이어 질 것이다(진공 효과).
▪ 모든 길냥이가 제거되게 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해도 살아 남은 한,두 마리와 이웃에서 이주해온 길냥이와 집에서 버려지는 고양이들로 다시 빠르게 번식하여,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 사람들은 한,두가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모든 길냥이가 제거되어야 한다고 요구한다.
2.길냥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
▪ 길냥이가 아이들에게 위협이 된다.
-길냥이는 선천적으로 사람을 두려워 하며 그들이 모르는 사람에게 가까이 가지 않는다.
길냥이는 자신들이 위협받지 않으면 결코 공격하지 않는다.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그들이 모르는 동물에게 접근하거나 만지지 않도록 가르쳐야 한다.
아이들은 동물이 덫에 걸려 있거나, 상처를 입었거나 동물들의 새끼를 발견했을 때, 어른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 길냥이는 질병을 가지고 있고, 광견병을 퍼트린다.
_ 이것은 일반적인 오해이다. 연구는 길냥이와 주인이 있는 고양이가 비슷한 건강 상태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 TNR은 공중건강을 지켜준다. 중성화하고 백신을 놓아 방사한 길냥이는 사람들과 야생동물 사이에 장벽의 역할을 하여 야생동물에게만 나타나는 광견병이 인간에게 전염되는 것을 막아 준다.
▪ 만약 먹이를 주지 않는다면 길냥이들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고양이에게 먹이를 주지 않는다면 쓰레기 봉지를 뜯거나 음식을 찾아 다니는 등 더 큰 불쾌한 행동을 야기 시킨다.
- 정기적으로 음식을 공급받지 못하는 길냥이들은 긂주림으로 인해 사람들에게 더 가까이 접근해서 사람들과 부딪힐 기회가 더 증가한다. 정기적으로 먹이를 공급하는 것이 TNR 후 길양이 무리를 괸리하는 첫 단계이다. 사람들과 부딪힐 기회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먹이주는 곳이 사람과 떨어진 곳에 설치되어야 한다.
3. 불쾌한 행동들과 해결법
불쾌한행동/불평들 | 행동의 이해 | 해결 |
길냥이들이 마당을 화장실로 사용하고, 화단을 판다.
|
고양이의 본능은 부드러운 흙에 배설하는 것이다. | 마당에서 나가게 하는 방법
1.울퉁불퉁한 돌들을 흙 안에 넣는다. 2.철망을 흙 안에 넣는다. 3.펫 샾에서 스프레이 방지약을 사서 뿌린다. 4. 신선한 오렌지와 레몬 껍질을 흙 위에 뿌린다. 커피 가루와 담배가루도 고양이를 막는다. |
길냥이가 집지하나 창고나 차 모터 안에서 자고 있다.
차위에 고양이 발자국 |
고양이들은 따뜻하고, 건조한 장소를 잠자리로 찾는다. 그들은 보호되고 가려지는 버려진 건물과 차들 덤불더등을 찾는다. | 그 지역에서 못들어 오게 하기 위해서 길냥이가 들어오는 장소를 철망이나 창살로 밀봉한다.
고양이 발자국에 대한 민원은 차 커버를 구입해줌으로써 즉시 해결될 수 있다. |
길냥이들이 쓰레기를 뜯는다. | 길냥이들이 배고파서 음식을 찾는 것이다. 그들은 정기적인 먹이를 구할 수 없다면 쥐나 곤충, 두더지나 쓰레기등을 먹는다. | 길냥이가 쓰레기를 못 뜯게 하기 위해서 쓰레기는 밀봉되어 뜯을 수 없는 통이나 철망으로 된 보관함 속에 보관되어야 한다. |
길냥이들이 어디에나 있다.
싸우고, 스프레이하고 배회하고, 아프거나 상처입고, 새끼들을 계속 낳는다.
|
이것들은 중성화되지 않은 길냥이에 의해 보여지는 “짝짓기 행동”이다. | 1 그 길냥이들의 소유자가 있나 확인한다.
2. 포획하여 중성화하고 방사한다. 이것은 이 불쾌한 행동들을 막는 가장 효과적이고, 유일한 방법이다. 그것은 번식을 막고 장기적으로 이 문제들을 해결해 준다. |
사후 관리와 가이드라인
중성화 수술 후 방사된 길냥이는 반드시 관리 되어야한다. 먹이와 물을 공급받는 길냥이는 다른 길냥이로부터 자신의 영역을 지키면서 번식을 하지 않아 진공효과 없이 수적인 감소를 이룰 수 있다. 이웃들에게 무엇을 하고 있는 지 알리고 자료들을 제공한다. 일단 사람들이 어떻게 지역사회에 이익을 주는 지 알게 되면 길냥이를 더 참아줄 수 있을 것이다.
▪ 길냥이 무리들을 계속 모니터링 하여 TNR하지 않은 길냥이와 새로 버려지는 집고양이들이 보여지자 마자 TNR되어야 한다.
▪ TNR된 길냥이들은 사람들과 멀리 떨어진 한적한 장소에서 먹이와 물을 공급받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굶주림을 면하기 위해 이웃의 쓰레기를 뒤질 수도 있다.
▪ 지역 시장이니 펫샾에 봉지가 튿어진 사료나 유효 날짜가 임박한 사료를 무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지 요청해본다. 또는 지역 신문에 종교단체등 여러단체에 사료를 기증해줄 수 있는지 광고를 한다.
▪ 작고, 부분적으로 가려진 먹이 주는 장소를 만든다. 이는 길냥이가 덜 보여지고 먹이가 비나 눈에 젖지 않게 해준다.
▪ 먹이 고급하는 곳은 늘 깨끗하고 청결해야 한다. 아침과 밤 시간만 먹이를 주고 남은 먹이는 치운다.
▪ 먹이를 주는 곳이 사람 눈에 띄이는 곳이면 점차 먹이를 한적한 곳으로 1~2주동안 이동 시켜면서 준다. 길냥이는 먹이를 따라갈 것이다.
▪ 만약에 잠시 집을 비우거나 먹이를 줄 수 없게 되면 그 동안 먹이와 물을 줄 사람을 찾아본다.
▪ 가능하다면 적절한 길냥이의 집이 사람들의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제공되어야 한다.
▪ 인도적인 관점에서 아프거나 상처받은 길냥이는 모두 치료되어야 한다. 아픈 고양이는 몸무게 감소, 먹거나 마시지 않고, 무기력, 눈물이나 콧물나고, 털이 빠지는 등을 보인다.
길냥이의 과도한 수적 증가로 인한 과부하된 보호소, 높은 안락사율, 삶의 질에 대한 불평, 경제적 부담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현재 진행되고 있다. 현재 하고 있는 안락사나 방치등은 효과가 없으며 근본적으로 수를 감소시키며 그들에게 해를 주지 않는 인도적인 방법인 TNR프로그램이 보호소로 가는 수를 감소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키며, 모든 불평(민원)을 해소할 수 있다.
출처: 한국 고양이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