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회원님들은 새 웹사이트의 후원페이지를 이용해주세요!

반달 가슴곰 두 번 죽이는 복원사업!


<반달 가슴곰 두 번 죽이는 복원사업>

 

 

 

2004년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지 5년만인 지난 2009 2월말에 방사된 어미 두 개체가 처음으로 야생에서 새끼를 한 마리씩 출산하며 종 복원사업이 중요한 성공 단계를 지나고 있다고 평가 받았다. 그렇다면 복원사업이 진행된 지 10년째인 2011년 현재, 그리고 사업완료를 1년 앞두고 있는 지금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은 어느 정도의 단계에 와 있는가?


 


 























올무 희생


4마리


농약 희생


1마리


자연사


5마리


실종


1마리


회수


4마리


총 합계


15마리


 -50%에 이르는 방사 실패율


국립공원 종 복원센터의 한 관계자에 의하면 방사된 30마리의 개체 중, 15마리의 개체가 생존해 있고, 4마리의 새끼를 추가로 야생 출산하였다고 한다. (2012년 까지 목표개체수: 50마리)그러나 왼쪽의 표에서 보듯이 자연적응에 실패해 회수되거나 사고사자연사 한 개체수가 15마리로 방사 실패율은 50%, 방사 개체 치사율은 33%에 이르고 있다. 특히 치사한 개체 중의 50%가 불법으로 설치된 올무나 사용하고 남아 방치된 농약에 의한 사고사라는 점을 감안할 때, 109억이라는 엄청난 세금이 투입된 복원사업이 정부의 불법행위 감시 노력 부족과 주민의 의식전환 부재 등 사업 외적 장애물로 인해 그 물적 투자와 노력이 퇴색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보장되지 않은 방사 곰들의 서식지








 

US FWS(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에 따르면 멸종 위기 동물 복원 시에는 개체 수 복원 외에도 개체와 개체증가를 고려한 녹지 보장, 먹이, , 조광 등의 영양적 필수 조건, 충분한 양육 공간, 종자발아 및 분산 조건, 그리고 방해요소의 제거와 같은 서식지 요건들이 중요하다고 한다. 환경부에서는 지리산 국립공원이 반달가슴곰 종 복원 가업에 최적의 서식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하였으나 녹색연합에 따르면 백두대간의 생태 축으로 이어져야 할 지리산은 도로로 인해 안팎으로 훼손되고 있으며, 작은 조각형태의 서식지로 생태계가 단절되고 있는 상황이다. 거기다가 나날이 증가하는 관광객들과 서식지를 넓혀가는 반달가슴곰의 생활영역이 겹쳐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곰들의 안정적인 적응과 생활에 방해가 되고 있다.


 



 


종 특성에 적합한 서식지 마련과 국민적 합의 유도해야


외국의 성공적인 곰 종 복원 사례로는 미국의 흑곰 복원 사례를 들 수 있다. 1960년대 초 흑곰 복원위원회를 조직한 이후로 약 20년이 지난 1988년 흑곰의 개체수는 약 2500마리로 증가하였다. 이들의 성공적인 흑곰 복원 요인은 곰의 안정적인 서식지 보장을 위한 법적 보호조치는 물론이고 20여 년 이라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시민과 지역주민의 동의를 얻으며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진행한 프로젝트 수행을 꼽을 수 있다. 반달가슴곰의 50%라는 방사성공률은 누군가에게는 만족할 만한 수치일지 모른다. 허나, 인간에 의해 파괴된 생태계를 복원하려는 후속조치에 불과할 뿐이라는 반성과 함께 생명체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것인 만큼 신중하고 정확한 사업 수행으로 치사율을 최대한 낮추며 종 복원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인 종의 특성에 적합한 서식지 마련에 먼저 힘쓰며 반달곰 종 복원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데에도 소홀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동물사랑실천협회


 


 


 


 


 


 


 


 


 


l  협회 해피로그에도 같은 글이 있습니다.


네이버 이용자들도 많이 읽고 있도록 [공감]버튼 많이 눌러주시고 댓글도 달아주세요


http://happylog.naver.com/care/post/PostView.nhn?bbsSeq=15402&artclNo=123461435779&scrapYn=N


 


케어 정기후원 (정회원·천사단·힐링센터·대부대모)

후원문의: 02-313-8886 내선 2번, care@fromcare.org

관련 소식